민주당은 입만 열면 지들 욕이.... 자동으로다가 ㅎㄷㄷ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듣보잡은 해당 조사에 대한 수식...매체나 조사기관 자체를 듣보잡이라 평가하진 않아" 해명
5일 국민의힘 미디어특위는 "카톡 검열, 여론조사 검열에 이어 언론검열에 나선 민주당, 이것이 민주헌정 파괴"라면서 "또한 노종면 의원은 같은 글에서 펜앤마이크를 '듣보잡'이라고 비하하며 전체 인터넷 언론사를 모독했다. '듣보잡' 운운은 이들에 대한 심대한 모욕"이라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펜앤드마이크 의뢰 여론자사가 "수치 차이 있지만 대통령 지지율 상승은 여타 조사와 마찬가지"라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했다.
다음은 미디어특위 성명서.
민주당이 간이 부어도 단단히 부었습니다.
민주당 대변인이라는 노종면 의원은 오늘 오전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여론조사에 대한 보도지침을 내렸습니다.
노종면 의원은 "윤석열 지지 51%? 이 수치를 만들어 낸 수법은 꼼수를 넘어 범죄에 가깝다.
조사 수법도 수법이지만 결과만, 수치만 호들갑 떨며 인용보도해 준 언론사들은 사실상 공범 아니겠는가.
문화일보, 서울신문, 이데일리, 쿠키뉴스(국민일보), 헤럴드경제, 파이낸셜뉴스 등이 동조했다.
특히 문화일보는 무려 속보. 어쩌다 문화일보가 팬앤마이크 듣보잡 조사까지 속보 처리를 해주는 지경이 되었는가.
기사에 이름 오른 기자보다 뒤에 숨어 지시한 자의 신상을 공개하고 싶다. 후배 이름 팔아먹은 썩은 상사."라는 글을 게시했습니다.
펜앤마이크 여론조사 결과를 기사화한 <문화일보> 등 매체명을 거론하며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5공화국 시절의 보도지침을 연상시키는 부적절한 행태입니다.
언론사의 편집권을 침해하는 언론탄압입니다.
언론사가 무엇을 기사화할 지는 언론사 고유의 권한이며 언론 자유의 핵심입니다.
언제부터 기사 가치를 민주당이 판단하고 검열하게 됐는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누가 민주당에게 그럴 권리를 주었습니까.
심지어 노종면 의원은 YTN 기자 출신입니다.
이러고도 기자 출신입니까? 부끄럽지 않습니까?
민주당은 민형배 의원의 ‘조사지역 표기’ 헛발질을 포함해 그동안 여러 차례 여론조사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 왔습니다.
이런 부족한 실력으로 어따 대고 기사화를 하라느니, 마라느니 언론에 대해 보도지침을 내리는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또한 노종면 의원은 같은 글에서 펜앤마이크를 '듣보잡'이라고 비하하며 전체 인터넷 언론사를 모독했습니다.
공정성과 중립성을 애진작에 내다버린 소위 '공영방송' MBC보다 나은 인터넷 언론들이 다수입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자로서 자존심을 지키고 언론의 가치를 수호하기 애쓰는 수많은 인터넷 언론인들이 있습니다
'듣보잡' 운운은 이들에 대한 심대한 모욕입니다.
시대착오적 보도지침을 내리고, 인터넷매체를 비하한 노종면 의원이 민주국가에서 정치를 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노종면 의원은 반헌법적인 보도지침을 즉각 철회하고, 언론인들께 사과해야 합니다.
2025. 2. 5.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상휘)
※ 별첨 : [대통령 지지율 51% 펜앤마이크 여론조사에 대한 전문가 의견]
■ 수치 차이 있지만 대통령 지지율 상승은 여타 조사와 마찬가지
- 박동원 폴리컴 대표
1. ARS조사와 전화면접조사는 기본 구조가 좀 다르다. ARS는 전화면접조사에비해 정치고관여층이 많이 응대하기 때문에 무당층이 즐어들고 양진영의 정치고관여자들의 여론이 표집된다.
2. 정치상황에 따라 보수층과 진보층이 더 많이 응대하고 표집될 수 있는데, 이 현상은 왜곡이 아니라 여론조사가 갖는 속성이다. 진영의 공세적 상황이냐 수세적 상황이냐에 따라 한쪽이 좀 더 표집될 수 있지만 그것도 여론의 결과다.
3. 조사회사의 하우스이펙트가 전혀 없을 수는 없다. 김어준의 꽃 조사는 늘 진보층과 민주당 지지층이 과표집되고, 여론조사 공정은 늘 보수층과 국민의힘 지지층이 과표집된다. 단순히 수치만 볼게 아니라 동일한 조사기관의 조사결과를 놓고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를 보는게 중요하다.
4. 보수층이나 진보층이 과표집되는 건 주위 분위기 상승에 따른것인데 상승요인이 있기 때문에 과표집 되는 것이다. 조사가 잘못되었다면 계엄 이후에 대통령 지지율이 낮게 나온 결과는 설명이 안된다. 꾸준하게 상승해온 게 팩트다.
5. 수치는 약간 차이는 있지만 여타 ARS조사에서 대통령지지율 상승 현상은 다르지 않다. 가장 최근(2월1~2일) 뉴시스 의뢰로 에이스리서치에서 조사된 결과를 보면 대통령 탄핵인용이 12월말 61.2%에서 51.4%로 낮아졌고 탄핵기각은 37%에서 46.9% 상승되었다. 10%의 변동이 일어났다. 대통령 지지율은 아니지만 대통령 지지율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문의 및 제보는 아래 메일로
선우윤호 기자 yuno93@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s://www.pennmik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