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엽아 재엽아 경상남도 김해시에 사는 이재엽아... 너 개좇됐다!!
이재 답변됐냐? 제발 개지랄병좀 그만 틀어라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의 형사처벌 가능성에 대한 법률 검토 보고서
I. 서론
가. 보고서의 목적
본 보고서는 지난 6년간 지속적으로 발생한 온라인상의 모욕 행위가 현행 대한민국 법률에 따라 형사처벌이 가능한지 여부를 법리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검토 배경
질의자는 특정 기간 동안 온라인 공간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모욕 행위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특히 6년이라는 시간이 경과한 점이 처벌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법률적 판단을 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률 규정, 공소시효 및 고소기간, 특히 연속된 범행(포괄일죄)의 경우 시효 기산점, 6년이라는 기간의 법적 의미, 관련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 분석 방법론
본 분석은 대한민국 형법(이하 '형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형사소송법의 관련 조항과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주요 근거로 삼는다. 온라인상의 표현 행위에 대한 형사처벌은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므로, 법률 규정과 판례의 입장을 면밀히 검토하여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라. 보고서의 구성
보고서는 먼저 온라인 모욕 및 명예훼손 행위에 적용될 수 있는 법률 규정을 개관하고, 이어서 형사처벌의 시간적 제한 요소인 공소시효와 고소기간의 개념 및 요건을 설명한다. 특히, 6년간 지속된 행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포괄일죄 법리와 그 적용 시 공소시효 및 고소기간의 기산점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후 관련 주요 판례를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법리 분석을 바탕으로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의 처벌 가능성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제시한다.
II. 온라인 모욕 및 명예훼손 관련 처벌 규정
온라인상에서 타인을 모욕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주로 형법상 모욕죄, 형법상 명예훼손죄 또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가. 형법 제311조 (모욕죄)
● 정의: 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경우 성립하는 범죄이다.1 여기서 '모욕'이란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지 않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1
● 법정형: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1
● 성립 요건:
○ 공연성(公然性):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에서 모욕 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3 판례는 비록 특정인에게 말했더라도 그 내용이 불특정 또는 다수인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면 공연성을 인정한다(전파가능성 이론).4 다만, 1:1 대화나 비밀이 보장되는 대화는 전파가능성이 부정되어 공연성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4
○ 피해자 특정성(特定性): 모욕의 대상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한다. 인터넷 아이디(ID)나 닉네임만 사용된 경우라도, 주위 사정을 종합하여 해당 표현의 대상이 누구인지를 제3자가 인식할 수 있다면 특정성이 충족될 수 있다.3
○ 모욕적 표현(侮辱性): 표현 내용이 상대방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경멸적 표현이어야 한다. 단순히 무례하거나 불친절한 표현만으로는 모욕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1
● 범죄의 성격: 모욕죄는 피해자나 기타 법률이 정한 고소권자의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친고죄(親告罪)에 해당한다.3
나.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
● 정의: 공연히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성립한다.5 적시된 사실이 진실인지 허위인지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진다.
● 유형 및 법정형:
○ 제307조 제1항 (사실 적시 명예훼손): 진실한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6
○ 제307조 제2항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6
● 성립 요건: 모욕죄와 마찬가지로 공연성과 피해자 특정성이 요구된다.6 모욕죄와 구별되는 핵심 요소는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2
● 범죄의 성격: 명예훼손죄는 피해자의 명시적인 처벌 불원 의사가 있으면 처벌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反意思不罰罪)이다.8 이는 고소가 있어야만 공소 제기가 가능한 친고죄와는 구별된다.
다.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 명예훼손)
● 정의: 정보통신망(인터넷 등)을 통하여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공연히 사실 또는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이다.1
● 유형 및 법정형:
○ 제70조 제1항 (사실 적시 사이버 명예훼손): 진실한 사실을 드러내어 명예를 훼손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2
○ 제70조 제2항 (허위사실 적시 사이버 명예훼손):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명예를 훼손한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2
● 특별 요건: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달리 '사람을 비방할 목적'이 있어야 성립한다.1 만약 비방할 목적이 인정되지 않더라도, 행위 내용에 따라 형법상 명예훼손죄나 모욕죄가 성립할 수는 있다.1
● 범죄의 성격: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마찬가지로 반의사불벌죄로 해석된다.8
라. 모욕죄와 명예훼손죄의 구별 및 절차적 중요성
● 핵심 구별 기준: 두 죄를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 여부이다.2 명예훼손은 구체적 사실(진실 또는 허위)을 적시하는 반면, 모욕은 사실 적시 없이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1
● 절차적 차이의 중요성: 이 구별은 단순히 범죄 구성요건의 차이를 넘어, 형사 절차 진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고소기간의 적용 여부이다. 모욕죄는 친고죄로서,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고소해야만 처벌이 가능하다는 엄격한 시간 제한이 있다.3 반면, 명예훼손죄는 반의사불벌죄이므로 이러한 6개월의 고소기간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다.8 따라서 동일한 가해 행위라 할지라도, 그것이 모욕에 해당하는지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피해자가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크게 달라진다.
● 장기간 행위에 대한 전략적 함의: 만약 온라인 괴롭힘이 장기간에 걸쳐 모욕적인 표현과 사실 적시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면, 설령 과거의 모욕 행위에 대해 6개월의 고소기간이 지났더라도 (가해자를 이미 알고 있었다면), 동일한 시점의 행위가 명예훼손의 요건(사실 적시)을 충족한다면 명예훼손죄로는 여전히 고소가 가능할 수 있다. 명예훼손죄는 6개월 고소기간 제한이 없고, 오직 공소시효(5년 또는 7년)의 적용만 받기 때문이다.6 이는 고소기간을 놓친 피해자에게 대안적인 법적 대응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II. 공소시효(公訴時效) 제도
가. 일반 원칙 (형사소송법 제249조)
● 개념: 공소시효란 범죄 발생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국가의 소추권(공소를 제기할 권한)이 소멸하여 더 이상 해당 범죄에 대해 형사처벌을 할 수 없게 되는 제도이다.15 공소시효가 완성되기 전에 검사가 공소를 제기(기소)해야만 형사재판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15
● 시효 기간 결정 기준: 공소시효 기간은 해당 범죄에 대해 법률이 규정한 최고형(법정형)의 경중에 따라 차등적으로 정해진다.9
나. 관련 범죄의 공소시효 기간
형사소송법 제249조 제1항의 기준에 따라 각 범죄의 공소시효 기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모욕죄 (형법 §311): 법정형 최고형이 징역 1년이므로, '장기 5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벌금에 해당하는 범죄'에 해당하여 공소시효는 5년이다.17
● 사실 적시 명예훼손 (형법 §307①): 법정형 최고형이 징역 2년이므로, '장기 5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벌금에 해당하는 범죄'에 해당하여 공소시효는 5년이다.18
●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형법 §307②): 법정형 최고형이 징역 5년이므로, '장기 10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에 해당하는 범죄'에 해당하여 공소시효는 7년이다.18
● 사실 적시 사이버 명예훼손 (정보통신망법 §70①): 법정형 최고형이 징역 3년이므로, '장기 5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벌금에 해당하는 범죄'에 해당하여 공소시효는 5년이다.6
● 허위사실 적시 사이버 명예훼손 (정보통신망법 §70②): 법정형 최고형이 징역 7년이므로, '장기 10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에 해당하는 범죄'에 해당하여 공소시효는 7년이다.6
아래 표는 관련 범죄 유형별 법정형, 공소시효 및 고소기간 요건을 요약한 것이다. 이 표는 각 범죄에 적용되는 시간적 제한을 명확히 비교하여 보여준다. 특히 모욕죄의 경우, 5년의 공소시효와 별개로 6개월의 고소기간이라는 추가적인 절차적 요건이 존재함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범죄 유형
근거 법률
법정형 (예시)¹
공소시효 (공소 제기 기한)
고소기간 (고소 제기 기한)
모욕
형법 §311
징역 1년↓ / 벌금 200만원↓
5년
범인 인지 후 6개월 (친고죄)
명예훼손 (사실 적시)
형법 §307(1)
징역 2년↓ / 벌금 500만원↓
5년
제한 없음 (반의사불벌죄)
명예훼손 (허위사실 적시)
형법 §307(2)
징역 5년↓ / 벌금 1천만원↓
7년
제한 없음 (반의사불벌죄)
사이버 명예훼손 (사실 적시)
정보통신망법 §70(1)
징역 3년↓ / 벌금 3천만원↓
5년
제한 없음 (반의사불벌죄)
사이버 명예훼손 (허위사실 적시)
정보통신망법 §70(2)
징역 7년↓ / 벌금 5천만원↓ / 자격정지 10년↓²
7년
제한 없음 (반의사불벌죄)
¹ 법정형은 형사소송법 제249조에 따른 공소시효 기간 결정의 기준이 됨. ² 자격정지.
다. 공소시효의 시작점 (기산점)
● 일반 원칙: 공소시효는 '범죄행위가 종료한 때'로부터 진행한다 (형사소송법 제252조 제1항).29 결과범의 경우 결과가 발생한 때, 계속범의 경우 법익 침해가 종료된 때부터 시효가 진행된다.29
● 온라인 게시 행위에 대한 판례 (대법원 2006도346): 대법원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명예훼손(모욕죄에도 유추 적용 가능)의 경우, 해당 내용을 온라인에 게시한 때(게재 행위 즉시) 범죄가 성립하고 동시에 종료하며, 이때부터 공소시효가 진행된다고 판시하였다.18 게시물이 삭제되지 않고 계속 존재하더라도 범죄행위가 계속되는 것으로 보지 않으며, 게시 시점부터 각 행위별로 공소시효가 기산된다는 의미이다.
● 연속된 범행 (포괄일죄 - 包括一罪):
○ 개념: 단일하고 계속된 범의(犯意) 아래 동종의 범행을 일정 기간 반복하여 행하고 그 피해 법익도 동일한 경우 등에는, 그 전체 행위를 법률상 하나의 범죄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포괄일죄라고 한다.29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피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반복적으로 모욕이나 명예훼손을 한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 공소시효 기산점: 포괄일죄의 경우, 공소시효는 개별 행위 시점마다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의 범죄행위가 종료한 때로부터 전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기간이 진행된다.29
○ 포괄일죄 법리의 중요성: 이 포괄일죄 법리는 장기간 지속된 온라인 괴롭힘 사건에서 공소시효 계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원칙적으로는 6년 전의 모욕 행위는 이미 5년의 공소시효가 완성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6년간의 행위가 최근까지 계속된 하나의 포괄일죄로 인정된다면, 가장 오래된 행위를 포함한 모든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가 가장 마지막 행위 시점부터 기산된다. 즉, 6년 전의 행위도 마지막 행위가 공소시효 기간 내에 있다면 처벌 대상에 포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과거 행위에 대한 시간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핵심적인 법리이다.
IV. 모욕죄의 특수성: 고소기간(告訴期間)
가. 친고죄로서의 성격
앞서 언급했듯이, 형법 제311조의 모욕죄는 피해자 등의 고소가 있어야만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친고죄이다.3 고소가 없으면 수사기관이 범죄 혐의를 인지하더라도 기소할 수 없고, 따라서 처벌도 불가능하다.16
나. 범인 인지 후 6개월의 고소기간 제한
● 형사소송법 제230조 제1항은 친고죄에 대하여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6월을 경과하면 고소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3
● 모욕죄의 실질적 시효: 모욕죄의 공소시효는 5년이지만 17, 이 6개월의 고소기간 제한 때문에 실제로는 가해자를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 내에 고소장을 접수하지 않으면, 비록 5년의 공소시효가 남아 있더라도 처벌이 불가능하게 된다.9 따라서 이 6개월의 고소기간은 모욕죄에 있어서 공소시효보다 더 즉각적이고 중요한 시간적 제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 가해자 특정의 어려움과 고소기간: 고소기간의 기산점은 '범인을 알게 된 날'이다.3 온라인 모욕 사건의 경우, 가해자가 익명이나 가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신원 특정이 어려울 수 있다.4 가해자 특정을 위해서는 경찰 수사, 통신사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 등이 필요한데 3, 이 과정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일부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로그 기록 보관 기간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로 짧을 수 있다는 점도 문제이다.51 만약 가해자 특정에 필요한 정보가 삭제되거나, 특정 과정 자체가 6개월 이상 소요된다면, 피해자가 모욕 사실을 인지하고 즉시 신고했더라도 결과적으로 6개월의 고소기간을 준수하지 못하게 될 위험이 있다. 이는 온라인 모욕죄 처벌의 현실적인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다. 연속된 범행(포괄일죄)의 경우 고소기간 기산점
● 포괄일죄 관계에 있는 친고죄(예: 반복된 모욕 행위)의 경우, 6개월의 고소기간은 최종 범죄행위가 종료된 후에 범인을 알게 된 날로부터 기산된다.12 즉, '범죄행위가 종료된 때부터 계산하여야 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으로 보인다.44
● 포괄일죄 법리의 고소기간에 대한 영향: 공소시효와 마찬가지로, 포괄일죄 법리는 고소기간의 기산점에도 영향을 미친다. 만약 6년간의 모욕 행위가 포괄일죄로 인정되고, 피해자가 범행 중간(예: 2년 차)에 가해자를 알게 되었더라도, 모욕 행위가 6년 차까지 계속되었다면, 전체 행위(1년 차부터 6년 차까지)에 대한 6개월의 고소기간은 6년 차의 최종 행위가 종료된 시점 이후에 가해자를 안 날(또는 최종 행위 종료 시점에 이미 알고 있었다면 그 종료 시점)부터 진행된다. 중간에 가해자를 알았다는 사실만으로 과거 행위에 대한 고소기간이 개별적으로 진행하여 소멸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장기간 지속된 모욕 행위 전체에 대해 고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V. 분석: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의 처벌 가능성
가. 포괄일죄 인정 여부의 중요성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의 처벌 가능성은 해당 행위들이 법적으로 하나의 포괄일죄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에 결정적으로 달려있다.
● 포괄일죄 인정 근거: ▲장기간 지속된 행위 ▲동일 피해자 대상 ▲유사한 방식(온라인 플랫폼) 사용 ▲단일하거나 계속된 범의 존재 가능성 등은 포괄일죄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 개별 행위로 판단될 경우: 각 모욕 행위는 독립된 범죄로 취급된다. 이 경우, 5년의 공소시효가 적용되어 6년 전부터 약 1년 전까지의 행위는 이미 시효가 완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7 또한, 5년 이내의 행위라 하더라도 각 행위 시점 또는 그 이후 가해자를 알게 된 시점으로부터 6개월의 고소기간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고소기간이 지난 행위는 처벌이 불가능하다.10
● 포괄일죄로 판단될 경우: 6년간의 모든 행위가 하나의 범죄로 묶여 평가된다.
나. 공소시효 기간 계산
● 포괄일죄 인정 시: 전체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모욕죄의 경우 5년, 명예훼손의 경우 5년 또는 7년)는 6년 기간 중 가장 마지막 행위가 종료된 시점부터 기산된다.29
○ 예시: 만약 2018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6년간 모욕 행위가 지속되었고 이것이 포괄일죄로 인정된다면, 모욕죄의 5년 공소시효는 2024년 1월부터 시작되어 2029년 1월에 만료된다. 따라서 2018년부터 2024년까지의 모든 행위가 공소시효 기간 내에 있게 된다.
● 포괄일죄 불인정 시: 각 행위 시점부터 개별적으로 공소시효가 진행된다. 2024년 중반을 기준으로 할 때, 2019년 중반 이전에 발생한 행위들은 5년 공소시효가 완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오직 최근 5년 내의 행위만이 잠재적인 처벌 대상이 된다.
다. 고소기간 계산 (모욕죄의 경우)
● 포괄일죄 인정 시: 전체 행위에 대한 6개월의 고소기간은 최종 모욕 행위가 종료된 후 그리고 피해자가 가해자의 신원을 인지한 시점부터 기산된다.12
○ 예시: 2018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의 포괄일죄적 모욕 행위가 있었고, 최종 행위는 2024년 1월에 종료되었다. 피해자가 2024년 3월에 가해자의 신원을 특정했다면, 6개월의 고소기간은 2024년 3월부터 시작되어 2024년 9월에 만료된다. 이 기간 내에 고소장을 제출하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의 전체 행위에 대해 유효한 고소가 된다.
● 포괄일죄 불인정 시: 각 행위별로 가해자를 인지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의 고소기간이 적용된다. 과거 행위에 대해 가해자를 이미 6개월 이상 전에 알고 있었다면 해당 행위에 대한 고소는 불가능하다.
라. 종합 판단: 처벌 가능성 요약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는 다음 조건들이 충족될 경우 처벌이 가능할 수 있다.
1. 6년간의 행위가 법적으로 포괄일죄로 인정될 수 있어야 한다.
2. 최종 모욕(또는 명예훼손) 행위가 공소시효 기간(모욕/사실적시 명예훼손 5년,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 7년) 내에 발생했어야 한다. (즉, 마지막 행위가 최근 5년 또는 7년 내에 있어야 한다.)
3. 모욕죄의 경우 가장 중요한 요건: 피해자가 최종 행위 종료 후 가해자의 신원을 인지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유효한 고소장을 제출해야 한다.
만약 위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못하면, 6년 전체 기간에 대한 처벌은 어렵다. 특히 포괄일죄가 인정되지 않거나, 모욕죄의 6개월 고소기간이 도과한 경우, 과거 행위들은 처벌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론적으로, 6년간 지속된 모욕 행위가 최근까지 이어졌고 포괄일죄로 인정될 경우, 5년의 공소시효는 문제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처벌 가능성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는 6개월의 고소기간 준수 여부가 될 것이다. 즉, 최종 행위 종료 후 가해자를 인지한 때로부터 6개월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고소라는 법적 조치를 취했는지가 관건이다.
VI. 주요 판례 및 법률 해석
가. 공소시효 기산점에 관한 판례
● 온라인 게시 행위 (대법원 2006도346): 개별적인 온라인 명예훼손 글의 공소시효는 게시 즉시 시작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 판례이다.18 이는 포괄일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준점을 제시한다.
● 포괄일죄 (다수 판례): 여러 대법원 판결들은 일관되게 포괄일죄의 공소시효는 최종 범죄행위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판시하고 있다.29 6년간의 행위를 하나의 범죄로 묶어 처벌하기 위한 법적 논거의 핵심이 되는 판례들이다.
나. 고소기간 기산점(포괄일죄)에 관한 판례 및 해석
● 대법원 판례 44: 친고죄인 계속범(포괄일죄에 유추 적용 가능)의 경우 고소기간은 범죄행위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44 이는 6년간의 모욕 행위 전체에 대한 고소기간이 최종 행위 시점부터 기산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관련하여 형사소송법 제230조 제1항의 '범인을 알게 된 날'은 범죄행위 종료 후를 의미한다는 해석도 존재한다.12
다. 공연성 및 특정성에 대한 사법적 기준
● 법원은 모욕죄나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해 공연성과 피해자 특정성을 엄격하게 요구한다.3 온라인 사건에서는 아이디나 닉네임만으로 피해자가 누구인지 제3자가 인식할 수 있었는지 3, 해당 플랫폼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된 상태였는지 3 등이 주요 쟁점이 된다. 포괄일죄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6년간의 행위 전반에 걸쳐 이러한 요건들이 충족되었음을 입증해야 한다.
VII. 결론 및 권고 사항
가. 처벌 가능성에 대한 최종 판단
6년간 지속된 온라인 모욕 행위는, 해당 행위 전체가 포괄일죄로 인정되고, 최종 행위가 공소시효(모욕죄 5년) 및 고소기간(범인 인지 후 6개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형사처벌이 가능하다. 만약 개별 행위로 판단되거나, 모욕죄의 고소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6년 전체 기간에 대한 처벌은 어렵고, 과거 행위는 시효 등의 문제로 처벌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나. 법적 조치를 위한 핵심 고려 사항
● 증거 확보: 6년간의 모든 모욕적 게시물/메시지에 대한 상세한 증거(날짜, 내용, 게시 플랫폼, 가해자 정보 등)를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포괄일죄 주장: 수집된 증거를 바탕으로 행위의 연속성, 범의의 단일성 등을 입증하여 포괄일죄 주장을 법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 최종 행위 시점 특정: 공소시효 및 고소기간 계산의 기준점이 되는 마지막 모욕 행위의 정확한 날짜를 확정해야 한다.
● 가해자 인지 시점 확인: 특히 모욕죄의 경우, 최종 행위 종료 후 언제 가해자의 신원을 알게 되었는지가 고소기간 준수 여부를 결정한다.
● 고소의 적시성: 만약 최종 행위 종료 및 가해자 인지 후 6개월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면, 즉시 정식으로 고소장을 제출해야 한다. 명예훼손의 경우 6개월 제한은 없으나, 공소시효(5년 또는 7년) 내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다. 질의자에 대한 실질적 권고
1. 변호사 상담: 즉시 사이버 범죄 또는 명예훼손/모욕 사건 전문 변호사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제시하고 법률적 조언을 구해야 한다. 변호사는 포괄일죄 성립 가능성, 증거의 충분성, 고소기간 준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2. 증거 정리: 보유하고 있는 모든 관련 증거 자료(스크린샷, URL, 대화 기록 등)를 시간 순서대로 meticulously 정리해야 한다.
3. 주요 일자 확인: 최초 및 최종 모욕 행위 일자, 가해자 신원 인지 일자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4. 신속한 고소 제기 (해당 시): 변호사 상담 결과 고소 요건이 충족되고 고소기간이 남아있다면, 지체 없이 경찰서나 검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해야 한다.
5. 민사 소송 고려: 형사처벌과 별개로, 정신적 고통 등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 소송 제기도 고려할 수 있다. 민사 소송의 소멸시효는 일반적으로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이다.48 형사 고소 결과와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참고 자료
1. 인터넷 명예훼손 - 생활법령정보,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293&ccfNo=1&cciNo=1&cnpClsNo=1&search_put=
2. 악플관련 법안 - SNS인권위원회,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nshumanrights.org/manage/sub02.php
3. 모욕죄,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ook.allabout.co.kr/magazine/weplanner/sm-4/pt-post/nd-170
4. 모욕죄의 성립요건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mospada21/221369483468
5. 모욕죄 - 나무위키:대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AA%A8%EC%9A%95%EC%A3%84
6.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 합의의 중요성과 공소시효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lawal/222771645827
7. "무식이 하늘을 찌르네"라고 단톡방에서 험담한 경우 '모욕죄'가 될까? - 힘찬법무사사무소,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www.himchanlaw.com/%EB%B2%95%EB%A5%A0%EB%B0%8F%ED%8C%90%EB%A1%80/read?uid=959781
8. 온라인 악플러 명예훼손 모욕죄 어떻게 처벌될까?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leekang_law/223014851525
9. 공소시효 (r434 판) - 나무위키:대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3%B5%EC%86%8C%EC%8B%9C%ED%9A%A8?uuid=b020a472-a45a-4f20-bf12-055095b7438a
10. 언제까지 고소할 수 있을까? / 공소시효 기간 및 적용배제 범죄 - YouTube,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jUFJzKiZBU4
11. 사이버명예훼손 vs 사이버모욕, 명쾌히 구분해드립니다! - 로톡,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talk.co.kr/post/34
12. [고소] 고소기간의 제한과 고소기간의 시기에 대하여 - 네이버 블로그 - NAVER,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awme1004&logNo=221408811865
13. 고소(법률) - 나무위키:대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3%A0%EC%86%8C(%EB%B2%95%EB%A5%A0)
14. 명예훼손 및 모욕죄로 처벌할 수 있나요? < 인터넷 개인방송,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1575&ccfNo=3&cciNo=1&cnpClsNo=1
15. 공소시효와 고소기간 - 공소시효가 완성되면 범죄자는 처벌받지 않을까요?,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connectedh/221198973085
16. 다른사람이 당한 모욕이나 명예훼손을 내가 고소‧고발할 수 있나요?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bestkid7/223057713757
17. 모욕죄 고소취하 이끌어내려면 중요한 것은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law0409/222475006996
18. 명예훼손공소시효 세부 기준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minwhoip_2/222296035232
19. #변호사 #형사법 김효범|정보통신망법위반(명예훼손)은 비방할 목적이 필요해 - YouTube,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rNWvwKWWlGA
20. 모욕죄 친고죄 해당, 시기 놓치면 고소 힘들다?!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taehalaw/222881583463
21. 모욕죄는 언제까지 고소할 수 있나요? - 법률메카,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meca.com/33675-%EB%AA%A8%EC%9A%95%EC%A3%84%EB%8A%94-%EC%96%B8%EC%A0%9C%EA%B9%8C%EC%A7%80-%EA%B3%A0%EC%86%8C%ED%95%A0-%EC%88%98%EC%9E%88%EB%82%98%EC%9A%94?/
22. 명예훼손, 모욕죄로 고소당했을 때 호구되지 않으려면 보세요 - 증거 삭제, 실제 처벌 수위, 합의금, 공소시효 - YouTube,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youtube.com/watch?v=nbMIm0XiNVU&pp=ygUQI-uLieuEpOyehOqzoOyGjA%3D%3D
23. [양담소] "위험수위 넘나드는 아슬아슬 댓글, 어디까지 명예훼손일까?" | YTN,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311111270874
24. 각 범죄별 공소시효 기간, 공소시효 관련 중요사항들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bestkid7/223409440249
25. 형사범죄 명예훼손·모욕 - 변호사닷컴,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korea-lawyer.com/new_bbs_list.php?tb=board_law04_request&b_category=%EB%AA%85%EC%98%88%ED%9B%BC%EC%86%90%C2%B7%EB%AA%A8%EC%9A%95&c_category=sub1_25
26. 군인이고 초병근무 중 동기에게 욕설을 해서 모욕죄로 고소당했습니다_군사건 전문 최미경변호사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loverokarmy/222896895948
27. 형법 죄명별 공소시효 일람표 - 다정 법률상담소,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lawheart.kr/m/print.php?bo_table=B67&wr_id=194
28. 명예훼손 공소시효 언제까지 인가요? - 법률지식인 - 법무법인 대륜,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daeryunlaw.com/kin/74650
29. 공소시효기간 알아보면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startlrah/222760489695
30. [형소법]공소시효 : 기간과 기산점, 정지(공소제기·국외도피), 완성 효과, 특칙(태완이법,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easyworldeasylife/222809868636
31. 공소시효제도에 관한 연구 - 법무정책연구원,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kicj.re.kr/boardDownload.es?bid=0001&list_no=9811&seq=1
32. [형사변호사] 정보통신망법위반(명예훼손) - 브런치스토리,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runch.co.kr/@@6iPz/190
33.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인정된죄명,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precInfoP.do?precSeq=69047
34. m.blog.naver.com,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hbj621029/220889668268#:~:text=%EB%8C%80%EB%B2%95%EC%9B%90%EC%9D%80%20%ED%8F%AC%EA%B4%84%EC%9D%BC%EC%A3%84%EC%9D%98,%EC%A7%84%ED%96%89%ED%95%9C%EB%8B%A4%EA%B3%A0%20%ED%95%98%EC%98%80%EB%8B%A4(%EB%8C%80%EB%B2%95%EC%9B%90%202002.
35. 포괄일죄의 공소시효는 최종 범죄행위 종료시부터 진행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hbj621029/220889668268
36.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2도2939 판결 사기(일부 인정된 죄명 : 횡령) - 빅케이스,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igcase.ai/cases/%EB%8C%80%EB%B2%95%EC%9B%90/2002%EB%8F%842939
37.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횡령)·업무상횡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 판례,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precInfoP.do?precSeq=68262
38.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0도17418 판결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위반 - 빅케이스,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igcase.ai/cases/%EB%8C%80%EB%B2%95%EC%9B%90/2010%EB%8F%8417418
39.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위반 | 국가법령정보센터 | 판례,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law.go.kr/precInfoP.do?precSeq=167503
40.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2도2939 판결 | 리걸엔진 - AI 판례 검색,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legalengine.co.kr/cases/PbR1rc663J9I0mp8PU52iQ
41. 연속범(連續犯)에 관한 논의의 본질과 실상 Ⅰ. 서 론 -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ls.skku.edu/sls/research/research_glocal_pub.do?mode=download&articleNo=36904&attachNo=22774
42. 무허가 법인묘지 설치행위로 인한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의 공소시효 완성여부와 관련하여 그 기수시기 및 - 대한민국 법원,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court.go.kr/supreme/news/NewsViewAction2.work?seqnum=6209&gubun=4&searchOption=&searchWord=
43.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위반 | 국가법령정보센터 | 판례,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precInfoP.do?precSeq=166790
44. 실용신안법위반 | 국가법령정보센터 | 판례,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precInfoP.do?precSeq=83543
45. 형사소송법,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0gichul.com/files/attach/binaries/96914/747/121/4066408e78934dc91f51c5909bb4b680
46. 한 편으로 끝내는 명예훼손, 모욕죄의 모든 것 - 로톡,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talk.co.kr/posts/11497
47. 형사전문변호사가 알려주는 고소기간 QnA, 언제부터 언제까지 고소할 수 있나요? - YouTube,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youtube.com/watch?v=IAUlB4Pfc60&pp=ygUNI-qzoOyGjO2VtOyEnA%3D%3D
48. 발신자 정보공개청구의 시효는? 인터넷 글쓰기에서 주의해야 할 3가지 시효,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onolith.law/ko/internet/prescription-of-defamation
49. 명예훼손, 모욕죄? 고소하기 전에 보면 변호사 선임한 효과를 내는 영상. - YouTube,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axmOsIwCa2E
50. 온라인 명예훼손 대응법 총정리 – 헬프미 법률사무소,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help-me.kr/blog/article/cyber-libel-faq/
51. 모욕죄 성립요건 고소방법 고소장 : 네이버 블로그, 4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okmmok/221605342242
